반응형
2050년 미래의 대한민국 가구 통계 변화 (대한민국 통계청)
대한민국 통계청에서 2020년 10월에 발간한 자료를 기반으로,
1) 2039년까지 총가구수는 줄어들지 않고 오히려 늘어난다
('22년 2100만명 수준 → '39년 2400만수준)
더불어, '50년에도 서울은 거의 비슷한 수준을 유지한다.
2) 1인가구 비중은 계속 상승한다. (서울 20% 상승 : '20년 34%→''50년 40%)
고령자가구 비중도 계속 상승한다. (서울 2.5배 상승 : '20년 20%→'50년 45%)
특히, 여자가구 비중이 늘어난다. (서울 20% 상승 : '20년 35% →'50년 43%)
(총가구)
-2020년 2,073만 가구에서 2039년 2,387만 가구까지 증가한 후 감소, 2050년에 2,285만 가구에 이를 전망
-2020년 경기(503만), 서울(395만), 부산(140만) ,, 2050년에는 경기(658만), 서울(380만), 경남(139만)

(평균 가구원수)
2020년 2.37명(서울2.3명, 경기2.5, 세종2.5)에서 점차 감소, 2050년 1.91명(서울1.9명, 경기2.0 세종2.0)

(1인가구비중)
(전국) 2020년 31.2%(서울 34%, 경기 27%)에서 2050년 39.6%(서울 40%, 경기 36%)로 증가할 전망

(고령자 가구 비중)
2020년 22.4%(서울 20%, 경기 18%)에서 2050년 49.8%(서울 45%, 경기 45%)로 증가할 전망

(여자 가구주 비중)
2020년 32.4%(서울 35%, 경기 30%)에서 2050년 41.0%(서울 43%, 경기 40%)로 증가할 전망

반응형
'Mone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후 보장을 위한 1단계 준비는 연금 3종이다. (1) | 2023.10.07 |
---|---|
노후 보장을 위한 1단계 준비는 연금 3종이다. (2) | 2023.10.01 |
2차전지 ,, 여러 기사들,, (0) | 2023.07.02 |
(펌,수페tv) 인도경제현황 (ft. 국내/해외 인도 ETF) (0) | 2023.07.01 |
글로벌 은행의 연이은 몰락, 금융위기로 번질까(소수몽키) (0) | 2023.03.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