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ading

거인의 리더쉽, 신수정

by hills93 2023. 11. 26.
반응형

거인의 리더쉽, 신수정

 

왜 리더가 되어야 하는가?

(1) 자신의 가치를 높이고, (2) 더 큰 자율,책임 및 도전기회 제공, (3) 다른사람을 돕고 세상에 영향을 줄 기회를 더 많이 갖기 위함.

 

리더쉽이란?
당신이 원하는 일을, 다른 사람이 스스로 원해서, 하도록 하는 기술

구성원들의 영감과 동기를 불러일으켜서, 팀의 다이내믹스dynamics를 만들어, 조직의 목적을 달성하는 기술 


리더십을 키우는 목적은? (조직의 존재의 이유) 
탁월한 팀을 만들어, 지속가능한 탁월한 성과를 내기 위함이다. 그 외 이야기들은 다 요점을 빗나간 것이다. 

 

리더가 가져야 할 마인드은? 
프로페셔널 mind, 성장 mind, 목적&실험 mind + 가치와 원칙 고수, 원칙이 아니면 언제든 바꿈, 모르는 것은 모른다고 말함

 

리더는 무엇을 해야 할까?
목표/일/사람 관리 + 소통,결단&책임
*일 관리 = 일하고 싶은 환경, 일을 잘할 수 있는 환경/프로세스/시스템을 만드는 것

*모른다는 것과 실패하는 것은 멍청하다는 의미가 아닙니다. 성장한다는 의미입니다. 우리에겐 천재가 아니라 협력하는 팀이 필요합니다
  (사티아 나델리) 

 

무엇이 조직을 움직이게 하는가? 
(1) 기업 미션과 핵심 가치, (2) 기업 목표와 핵심전략, (3) 기업 경영시스템과 프로세스, (4) 조직구조, (5) 인사체계(보상포함)

 

-우리는 왜 존재하는가? (미션)
    구글의 미션은?  세상의 모든 정보를 조직화하여 누구나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이다. 
    넷플의 미션은?  TV와 영화 시청 경험을 혁신한다는 것이다.

-우리는 어떻게 행동하는가? (핵심가치)
    핵심 가치란, 그걸 무시하고 돈 벌 다른 기회가 있을 때에도 돈 대신 선택할 본원적인 기준 가치이다.
    그 회사의 정체성이며 의사결정의 우선순위인 것이다. 예)아마존(고객집착), 애플(심플), , 페북(연결), 사우스웨스트항공(저비용, 안전)

-우리는 무엇을 하는가? (사업정의) 

    3년 후에 우리 조직의 모습은 어떠한 모습(outcome)일까?
    과거와 현재의 연장선상에서 정의하지 않는 것이다. 백지에서 그린다. 우리가 아무 제한이 없다면 어떤 미래를 그릴 것인가? 
    3년 후의 그림을 그린 이후 이를 기반으로 1년 후의 목표와 몇 개의 전략과제를 정한다.
-우리는 어떻게 성공할 것인가? (핵심전략) 

    전략이란 무엇인가? 기업의 미래를 달성하기 위한 지도이다. 선택과 집중, 우선순위 이다.
    사우스웨스트는 다양한 서비스나 일등석을 포기했다. 대신 저렴한 운임,정시운행, 즐거움 이 세 가지에만 초점을 맞추었다.

 

* 리더의 목표는? 성과와 성장이다. 
   성과는 지속성장가능sustainable해야 하고, 성장은 학습lesson&learn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반응형

댓글